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데이터, 정보, 신호, 아날로그, 디지털의 표현

by &%#&% 2023. 4. 16.

(1)  데이터

임의의 형식화된 사실이나 개념, 의사, 명령등을 사람이나 기계에 의한 처리에 적합하오록 숫자, 문화, 기호, 음성 및 영상 등으로 부호화한 자료를 의미하며, 자체로는 의미를 부여할 수 없다. 즉, 사람이 인식하는 정보를 컴퓨터나 디지털 통신망이 취급할 수 있도록 기호, 숫자, 문자 등으로 나타낸 것으로 정보의 기초가 된다.

 

(2)  정보

데이터를 일정한 약속에 의하여 어떤 의미를 가지도록 한 내용이다. 즉, 컴퓨터에 의해서 일전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되며 특정한 목적에 사용되는 정보를 만들어낸다. 정보의 형태로는 음성, 음향, 텍스트, 화상, 영상 등이 있으며, 대개 텍스트를 데이터로 호칭한다. 여기서 화상은 그림, 도표, 차트, 그래픽, 영상은TV방송과 영상회의, 영상응답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특히 최근에는 이들 정보가 각자 전달되는 통신환경에서 음성과 데이터 및 화상 등의 정보가 통합된 형태의 멀티미디어 통신환경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3) 메세지 

통신의 목적이 되는 정보로서 정보전달시 사용될 그림, 문자, 숫자, 기호의 집합을 말하는 것으로 통신수단에 의한 전달에 적합하게 시작과 끝이 명확히 규정된 잔위정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메시지란 시스템의 운용상황, 에러, 기타의 상태 등에 관하여 사용자 또는 운영자에게 되돌려보내는 단위정보를 말한다.

 

(4) 신호

정보를 표현하고 전송매체를 통해 구체적으로 운반하는 물리적인 수단을 의마하며, 정보를 전송매체의 특성에 맞도록 전기적인 형태로 변환한 것이다. 대부분의 신호는 시간에 따라 크리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아날로그 신호이며, 반면에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불연속적인 특성을 가진다.

 

 (5) 아날로그 정보

시간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점짐적이고 연속적으로 변하는 정보로서, 대개 신호는 진폭, 주파수, 파장, 위상, 주기등으로 표현되며, 그 예로서 음성, 소리 등이 해당된다. 이 용어는 '유사하다'라는 뜻을 가진 말로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나타낸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것이다.

 

(6) 디지털 정보

시간과 크기가 모두 이상적으로 변하는 정보로서 숫자라는 의미의 디짓에서 유래된 것이며, 이진값 '0'과 '1', 즉 비트로 표현된다. 예로서 전자계산기, 컴퓨터, CD 등이 해당된다. 한편 8비드 단위를 바이트 또는 옥텟이라 부르며, 4비드 단위를 니블이라고 한다.

 

디지털 정보는 컴퓨터를 이용해서 비교적 쉽게 가동, 저장, 병환 등이 용이하며,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에 비해서 전송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지만 잡음에 대해 강한 장점이 있다. 

 

전화는 아날로그 가술을 이용한 전통적인 데이터 전송방법으로서, 전화선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 정보로 바꾸고 전화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 신호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윈하여 모뎀이 사용된다. 

 

(7) 아날로그와 디지털 정보의 비교

예를 들면, 시계에서 일정 시간동안에 아날로그는 연속적인 값이므로 계속해서 무한한 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한정된 값으로만 표현된다. 즉, 아날로그는 시계에서 1초와 2초 사이에도 계속해서 값을 가지는 무수히 많은 시간이 있는 반면에, 디지털은 1초에서 2초 사이에 0.1초 단위로 표현되면 10개의 값이 있게 된다.

 

음악에서 레코드판은 아날로그 방식이고, CD는 디지털 방식이다. 

 

 

 

댓글